한국 회사에서 생활을 하거나, 한국 회사와 거래를 하는 외국회사의 사람들은 한국인의 명함을 받았을 때 그 사람의 이름 외에 직급이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직급을 알고 있어야 그 사람을 부를 수 있습니다. 한국인들은 주로 그 사람의 성과 직급을 붙여서 부르기 때문입니다. 회사 내에서 이름을 부르는 것은 흔하지는 않은 일입니다.
회사 안에서 이름을 부르지 않는다
한국의 회사 안에서 사람의 성과 이름을 함께 부르는 일은 많지 않습니다. 특히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이름을 부르는 일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보통은 그 사람의 성과 직급을 함께 부릅니다. 예를 들어 “이 과장”, “김 부장님”같은 호칭입니다. 한국 회사의 직급체계는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사원, 주임, 대리, 과장, 차장, 부장
- 사원, 주임, 전임, 선임, 책임, 수석
- 회사 내 직급은 보통 위와 같으나, 회사마다 더해지거나 빠질 수 있고, 또한 변형됩니다.
회사 내에서 임원급 이상의 직급은 보통 아래와 같다. 물론 회사마다 모두 다릅니다.
- 이사, 상무, 전무, 부사장, 사장, 부회장, 회장
일반적인 회사에서 "김XX"라는 사람이 대리의 직급을 가지고 있다면 "김대리" 혹은 "김대리님" 고 부르게 됩니다. 직급을 부르는 호칭문화는 한국의 회사문화에 유연함을 빼앗아 가고, 수평적인 논의가 어렵게 만드는 많은 요인 중 하나로 대두되어 왔습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직급체계를 간소화하거나, 직급체계 자체를 사용하지 않는 회사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또한 직급체계는 사용하되, 서양권 문화처럼 서로의 이름을 부르는 회사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딱딱한 회사문화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들을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존 호칭 문화에서 벗어나려는 노력
"님" 존칭어 사용해서 이름 부르기
한국인은 회사에서 서로의 이름을 잘 부르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서로의 이름을 모르고 지내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서로의 이름을 부르되 "님"이라는 존칭어를 사용해서 "김민정 대리"의 경우 "민정님"이라고 부르는 방식입니다. 이는 서양권에서 이름만을 부르는 문화를 일부 차용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정서에 맞게 "님"이라는 존칭어를 붙여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이름 사용
외국계 회사나, 외국인 CEO가 있는 경우, 아예 영어 이름을 한국어 이름과 함께 사원증에 명시하거나 한국어 이름의 사용을 없애고 영어 이름만을 사원증에 명시해서 서로 영어이름을 부르는 회사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본인의 한국어 이름, 한국어 성 외에 영어이름을 개인이 새롭게 만들어서 사원증에 명시하고, 일종의 Nick Name으로 영어이름을 부르는 것입니다.
직급체계 간소화
회사 내의 직급체계를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노력도 많이 있습니다. 한국은 상대방의 성과 직급을 한꺼번에 부르기 때문에, 직급이 없어지면 성과 이름을 자연스럽게 부르게 된다는 것이 취지입니다. 예를 들어 모든 직급을 없애고, 한 팀에 팀장과 그 외 팀원들을 두는 방식입니다. 이 경우 수직적인 체계와 다르게 모든 사람들에게 책임이 골고루 나누어져 업무 수행 시 자발적 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혹은 기존의 직급체계는 그대로 두되, 직책을 두어 팀장과 팀원으로 분류하고 서로의 호칭을 "김팀장님"그리고 나머지는 "OO님"으로 이름을 부르게 하는 것입니다.
댓글